[CEO풍향계] '파격 복지' 박정호…'작심 발언' 이동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 주간, 기업 CEO들의 동향을 살펴보는 'CEO풍향계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은 박정호 SK하이닉스 대표와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 이야기를 김종력, 한지이 기자가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반도체 업체들의 인력 쟁탈전이 치열하죠.<br /><br />그 때문일까요. 박정호 SK하이닉스대표, 최근 파격적인 사내 복지를 연이어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첫 글로벌 테마파크 레고랜드가 춘천에 문을 열었죠.<br /><br />박 대표,임직원과 가족을 위해 통 크게 개장 전 통째로 빌렸습니다.<br /><br />사흘간 임직원과 가족 3만여 명이 여기서 신나게 즐겼죠.<br /><br />이 기간 셔틀버스에, 에코백과 마스크, 밀키트 쿠폰이 든 기념품 패키지도 제공해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.<br /><br />앞서, 박 대표는 회사 출범 10주년 특별 축하금으로 기본급 200%를 풀었습니다.<br /><br />매주 세 번째 금요일을 재충전 휴일로 정하는가 하면, 전 직원 의자를 의자계의 명품 '허먼밀러'로 교체했습니다.<br /><br />SK하이닉스는 이번 1분기에 1분기 기준 역대 최대 매출을 올렸죠.<br /><br />성과가 보상으로, 보상이 성과로 나타나는 선순환 구조가 자리잡고 있는 거 같습니다.<br /><br />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사의를 표명한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. 더 이상 미련이 없어서일까요. '작심 발언'을 쏟아냈습니다.<br /><br />이 회장은 김대중 정부에선 청와대 행정관, 노무현 정부에선 금융감독위 부위원장을 지냈죠.<br /><br />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산은 회장으로 들어와 연임까지 하면서 4년8개월 근무해왔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사의가 예상돼왔죠.<br /><br />이 회장도 "정부와 철학을 공유하는 사람이 회장직을 수행하는 게 순리"라며 임기가 1년5개월 남았음에도 사퇴하는 이유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곱게 떠나지는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산업은행의 부산 이전 추진에 대해 "2조~3조원의 부가가치가 창출될 것이란 주장은 근거가 없고 이 지역은 이미 특혜를 많이 본 지역"이라며 쓴소리를 했습니다.<br /><br />또, 임기 중 성과가 없다는 주장에도 "어려운 여건에서도 일하는 직원과 그 가족에 대한 모독"이라고 날을 세웠습니다.<br /><br />구본준 회장을 중심으로 지난해 LG그룹에서 독립한 LX그룹. 지난 3일 창립 1주년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1951년생인 구 회장. 고 구자경 LG그룹 2대 회장의 3남으로 1985년 금성반도체에 입사해 LG반도체, LG상사, LG전자 등에서 대표이사를 역임했죠.<br /><br />LX의 계열 분리는 그룹 경영권은 장남이 승계하고, 동생들은 일부 회사를 분리해 독립하는 LG가의 전통에 따른 겁니다.<br /><br />구본준 회장도 조카가 회장에 오르자 지난해 LX인터내셔널 등 5개사를 이끌고 독립했죠.<br /><br />구 회장은 LG시절부터 강조한 1등주의를 앞세워 1년 만에 LX그룹을 빠르게 성장시켰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LX그룹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전년 대비 42.3%, 212.8% 급증한 점이 이를 입증합니다.<br /><br />미래 성장 동력 확보에도 적극적입니다.<br /><br />국내 2위 유리 업체 한국유리공업을 인수했고, 신재생에너지 발전소 '포승그린파워' 지분 63.3%도 확보했습니다.<br /><br />여기에 반도체 분야 강화를 위해 중견 시스템 반도체 기업 매그나칩반도체 인수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라면업계 1위 농심을 이끄는 신동원 회장. 미국 캘리포니아주에 두 번째 미국 공장을 완공하고 국내 1위를 넘어 세계 1위에 오르겠다는 포부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제2공장은 라면을 연간 3억5,000만개 만들 수 있는 설비를 갖췄습니다.<br /><br />1공장을 합치면 연간 약 8억5,000만개 생산이 가능하죠.<br /><br />신 회장은 "미국 라면시장 1위에 오르는 것은 물론 글로벌 1위라는 꿈을 위해 전진하자"고 직원들에게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농심은 2020년 미국 시장 점유율 23.3%로, 49%인 일본 토요스이산에 이어 2위인데요.<br /><br />지난해에는 3억9,500만달러 매출을 올렸는데, 2025년까지 8억 달러로 늘려 미국 시장 1위에 오른다는 게 목표입니다.<br /><br />분위기는 나쁘지 않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대표 일간지 뉴욕타임즈에서 신라면 블랙을 세계 최고 라면으로 꼽을 정도로 농심의 인지도가 높아졌죠.<br /><br />라면 세계 1위를 향한 농심의 진격, 지켜보겠습니다.<br /><br />송치형 두나무 의장. 가상화폐 관련 기업 최초로 대기업 총수로 지정됐죠.<br /><br />스타트업의 또 다른 창업신화라고 할 수 있는데요.<br /><br />송 회장은 앞으로 두나무의 ESG활동에 1,0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했습니다.<br /><br />성공한 CEO를 넘어, 모범이 되는 CEO를 기대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CEO풍향계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